사실과 진실의 차이

뒤로 검색

요즘 대입 수험생들의 이상한 경제 상식...

2007/02/05 23:09

수시 면접을 하고 나오신 교수님들이 말해주는 에피소드를 들으면

요즘 고3들이 경제학을 경제학이 아닌 이상한 사회학 비스므리 한걸로 변형시켜 이해한다는게 쉽게 눈에 띕니다.

가장 흔한 에피소드로

"기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너무들 희한한 대답이 많아서 1학년 원론 수업때는 거의 모든 교수님들이 수업시간에 분명히 각인시킨다더군요.

교수님의 부담을 풀어줄려고 쉬운 질문으로 시작했는데 공익추구, 사회기여 등 별별 대답이 다 나온답니다.

여러분의 부모님이 가게를 한다고 생각해보십시오

작은 규모의 기업이죠 여러분은 부모님은 공익추구와 사회기여을 위하여 장사하십니까?

아니죠 돈벌려고 하시죠...ㅡ.ㅡ

경제주체들이 각자의 이윤을 위하여 움직인다는 건 대부분의 이론들에 바탕에 깔리는데

이걸 엉뚱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이 이리 많아서야....더군다나 경제학과 수시면접에서 그런소릴 하다니요..


여기서 한술 더뜨는 학생도 있습니다.

교수님이 어이가 없어서 물어 봤답니다.

"공익추구하다가 기업이 이윤이 안나서 부도나면 어떻게하려고?"

"그런 기업은 망해도 주위에서 도와줘서 일어날수 있습니다."

"......................."

이 학생은 아직 순진한건가요?


다른 에피소드로는 역시 교수님이 이 학생이 주식회사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나가는 주식회사인 삼성전자를 예로 물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주인은 누구입니까"

이때까지 교수님은 따른 답이 나올거란 상상도 못하시고 다른 질문을 고르고 계셨답니다.

"종업원과 국민들이 삼성전자의 주인입니다."

"............."

"그럼 학생 아버님이 퇴직하셔서 퇴직금으로 식당을 차렸다면 그 식당은 주방장과 동네 사람들이 주인인가요?"

"......"
(얼굴이 벌게져서 땀흘렸다더군요...)

주식회사 주인은 그 회사 주식을 가진 주주들이지...왠 종업원과 국민....

종업원은 어떻게 우리사주 등으로 백보 양보한다고해도 국민이라는 답이나온건 이해 불가라고 하시더군요...

더군다나 저긴 경제학과 수시 면접이었는데.......


대체 뭐가 어떻게 되가는거랍니까? 고등학교의 경제 과목의 교육은?

Tags

경제학, 수시면접 에피소드
이 페이지는 Textcube 1.10.10 : Tempo primo 로 구동됩니다 데스크탑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