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블로그 시스템을 바꾸면서 내세운 홍보 동영상의 처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그런데 이게 그 결과 라는 건가....

여러분은 지금 네이버 스킨 선택 화면을 보시고 계십니다.
테터툴즈의 새로운 스킨 모음 사이트 같은게 절대 아닙니다.
루미넌스 님 말처럼 "네이버 블로그 스킨 시즌2" 라면 아주 성공적인 업데이트라고 칭찬 할 만하다.
하지만 이걸론 남들이 가지지 않는 새로운 나만의 블로그를 만드는건 불가능하다.
결국 틀 안의 자유일 뿐이다.
(돋보기로 확대하면 어딘가에 '네이버가 제공하는 범위 한정' 이라는 문구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준비해서 내놓은게 아래의 시스템인 모양인데..

이게 뭐냐..
이걸로 어떻게 내가 상상하는 디자인을 전부 표현하는게 가능한거며
독립형 설치형 블로그 만큼 자유로운거냐..
네이버의 기획자는 설치형의 자유로움을 아마 잘못 이해하고 있는듯하다.
설치형은 사소한 것 하나 하나 까지 자신이 통제 할수 있다는게 가장 큰매력이다.
테두리 마감형태라던가. 둘러싼 외곽선의 모양, 스타일 등 아주 사소한 부분 까지도 변화를 줄수 있는거다.
새장안의 새를 좀더 큰 우리에 풀어 놓고 "당신은 밖의 새들 만큼 자유로워 졌습니다" 라고 말하는 건가?
애들 장난도 아니고 이건 자살골이다.
이런 정도로는 네이버가 붙잡기를 원하는 소위 "파워 블로거"들은 전혀 붙 잡을 수 없다.
티스토리가 생겼음에도 무수한 테터 유저들이 아직 설치형을 고수하고 있다는 사실을 네이버는 잊어 버린것 같다.
게다가 이정도의 어설픈 자유도는 메뉴 이것 저것 만져보면 불만이 쌓이기 마련이다.
"왜 좀더 자유롭지 못한가? " .... 한국의 네티즌들은 컨텐츠 소모 속도가 엄청나게 빠르다.
자기 마음대로 바꾸는 것에 맛들인 네티즌들이 설치형이나 티스토리로 넘어가도록
네이버가 징검다리를 놓아주는 역할을 본의 아니게 할것 같다..
이래서야 기획자가 문책 당하지 않을가 걱정이다.
이건 블로그를 처음 접하거나 컴맹을 갓 벗어난 수준이면 몰라도 네이버가 타겟으로 삼던 테터툴즈나
티스토리에는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고 오히려 안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낼지도 모를 가능성만 만들었다.